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교통사고 합의금, 평균은 얼마? – 산정 기준과 현실적인 전략 (1편)

by 런림이 2025. 3. 23.

교통사고 합의금, 평균은 얼마? – 산정 기준과 현실적인 전략 (1편)

“교통사고 나면 얼마 받을 수 있나요?”
교통사고 피해를 입은 분들이 가장 먼저 궁금해하는 질문입니다. 특히 경미한 사고일 경우 보험사에서 제시하는 금액이 합리적인지, 더 받을 수 있는 여지가 있는지 헷갈리기 마련입니다.
이 글에서는 교통사고 합의금의 평균적인 수준과 산정 기준, 그리고 실제 사례에서 어떻게 전략적으로 접근하면 좋을지 전문가의 관점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교통사고 합의금, 평균은 얼마일까?

합의금은 사고의 심각도, 진단 기간, 입원 여부, 후유증 유무 등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미한 교통사고 기준 평균 합의금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진단기간 입원여부 평균 합의금 범위
1~2주 진단 입원 없음 100~250만원
2~3주 진단 입원 1~3일 200~400만원
4주 이상 장기 입원 500만원 이상

이 금액은 위자료, 휴업손해, 치료비 등이 포함된 금액입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단순히 병원 진단 기간으로만 금액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2. 합의금은 어떻게 산정될까?

(1) 치료비

병원에서 발생한 진료비, 검사비, 물리치료비 등이 포함됩니다. 보험사가 전액 보상해주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2) 휴업손해

사고로 인해 일을 쉬었다면 그에 따른 일당 손해도 보상 대상입니다.
프리랜서, 자영업자의 경우 입증이 어려워 보상이 누락되기도 하니, 소득 증빙(세금 신고, 매출 내역 등)을 꼭 준비하세요.

(3) 위자료

정신적 고통에 대한 보상입니다.
일반적으로 2주 진단 → 50~100만원, 3주 진단 → 100~200만원 수준으로 책정됩니다. 하지만 보험사는 이를 낮춰 제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후유증 보상 (장해 진단 시)

만약 사고 이후에도 지속적인 통증, 운동 제한 등이 발생한다면 장해 진단서를 첨부해 보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3. 보험사 합의 제안, 절대 처음엔 OK하지 마세요!

보험사는 보통 사고 후 3~5일 안에 전화를 걸어 “빠르게 마무리하자”며 소액을 제안합니다.
이때 절대 바로 수락하지 마세요.

실제 사례:

  • 2주 진단을 받고 보험사에서 80만 원 제시 → 협상 후 250만 원 수령
  • 3일 입원 + 3주 진단 → 초기 제안 120만 원 → 350만 원까지 인상

보험사는 피해자가 정보 부족, 협상력 부족이라는 점을 노려 빠르게 종결하려 합니다. 하지만 정보를 알고 있으면 2~3배 더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전문가의 팁: 합의금 높이려면?

  1. 치료기록 꼼꼼히 남기기
    • 통증 부위, 치료 내용, 증상 악화 등을 일지로 정리
  2. 진단 기간 연장도 전략
    • 통증 지속 시 1주 재진단으로 2주 → 3주 연장 가능
  3. 휴업 증명 확보
    • 병가 기록, 매출 감소, 급여명세서 등
  4. 보험사 통화 내용 녹취
    • 부당한 압박이나 허위 정보 제공 시 대응 근거 확보

마무리

교통사고 합의금은 단순히 보험사가 알려주는 금액만이 ‘정답’이 아닙니다.
진단 기간, 입원 여부, 소득 증빙, 후유증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피해자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정보 확보와 협상을 해야 제대로 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